안녕하세요! 30년 가까이 IT 현업에서 뛴 개발자입니다. 요즘 중소기업 사장님부터 스타트업 대표님들까지 "우리도 이제 ERP 도입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고민 많이 하시죠. 그런데 막상 알아보면 머리가 아파옵니다. 어떤 건 'SAP'나 'Oracle'인데 초기 비용만 수십억이고, 어떤 건 '더존', '이카운트'인데 월 5~10만 원이면 쓴다고 합니다.

"아니, 똑같은 ERP인데 가격 차이가 왜 이렇게 말도 안 되게 나는 걸까?", "그냥 싼 거 쓰면 안 되나?" 이 질문에 대해, 30년 차 현직 개발자 입장에서 '왜 기업의 크기에 따라 ERP가 다를 수밖에 없는지' 그 본질적인 이유를 속 시원하게 알려드릴게요!
1. ERP (전사적 자원 관리)가 도대체 뭔가요?
먼저 ERP가 뭔지 10초 만에 요약해 드릴게요. ERP는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전사적 자원 관리'라고 부릅니다.
이름 그대로, 회사의 모든 자원(인사, 재무, 회계, 생산, 재고, 영업 등)을 하나의 시스템(소프트웨어)으로 묶어서, 따로 놀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공유하게 해주는 '회사의 거대한 두뇌' 또는 '통합 신경망'입니다.

ERP가 없으면 어떨까요? 영업팀은 엑셀로 고객 관리하고, 생산팀은 자기들 프로그램으로 재고 관리하고, 회계팀은 더존으로 돈 관리합니다. 사장님이 "지금 팔 수 있는 물건 몇 개 남았지?"라고 물으면, 생산팀과 영업팀 엑셀을 다 취합해 봐야 하니 '실시간' 파악이 불가능하죠. ERP는 이 모든 것을 하나로 통합해 줍니다.
2. ERP 종류: '맞춤 정장' vs '기성복'
수십억 원짜리와 월 10만 원짜리의 차이는 단 하나,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맞춤 제작)'이 얼마나 가능하냐의 차이입니다. 현업에서는 이걸 '구축형'과 'SaaS형'이라고 부릅니다.
기업 규모별 ERP 종류와 특징
| 구분 | ① 구축형 (On-Premise) / 맞춤 정장 | ② SaaS형 (Cloud) / 기성복 |
|---|---|---|
| 주요 대상 | 대기업, 중견기업 (복잡한 프로세스) | 중소기업, 스타트업 (표준화된 프로세스) |
| 대표 솔루션 | SAP, Oracle | 더존 Amaranth 10, 영림원, 이카운트 |
| 비용 | 초기 구축비 (수십억~수백억) + 유지보수비 | 월/연 구독료 (수십만 원) (초기 비용 매우 낮음) |
| 커스터마이징 | 매우 높음 (핵심) | 거의 불가능 (핵심) |
| 서버/유지보수 | 회사 내부에 서버 설치(On-Premise), 자체 관리 | 클라우드(SaaS) 방식, ERP 업체가 관리 |

3. [30년 차 개발자의 결론] 왜 기업 크기별로 다른가?
30년 차 개발자 입장에서 단호하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건 '기능'의 문제가 아니라 '업무 프로세스'의 문제입니다.
예시: 현대자동차 vs 동네 카센터
• 중소기업(동네 카센터): 업무가 비교적 단순합니다. '고객 예약 → 부품 주문 → 수리 → 결제'. 이 정도는 '이카운트' 같은 표준 SaaS ERP로 충분히 처리가 가능합니다.
• 대기업(현대자동차): "아반떼 1대를 생산한다"는 단순한 일 뒤에는, 전 세계 1,000개 협력사의 부품 공급망(SCM), 울산 공장의 로봇 자동화 라인(MES), 국가별 수출 통관, 수만 명의 인사 관리 등... 이 세상에 없는 '현대차만의 고유한 프로세스'가 있습니다.

결론은 이겁니다.
대기업은 월 10만 원짜리 SaaS ERP를 '못' 쓰는 게 아닙니다. 그들의 고유하고 복잡한 프로세스를 표준 기성복(SaaS)에 구겨 넣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수백억을 들여 'ERP를 회사 프로세스에 맞추는' '구축형(맞춤 정장)'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중소기업은 비싼 구축형 ERP가 필요 없습니다. 이미 검증된 '표준 업무 프로세스'(SaaS)를 저렴하게 구독하고, '우리 회사의 업무 방식을 표준 ERP에 맞추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ERP 도입이 망하는 가장 흔한 경우는, "SaaS형 ERP를 계약해놓고, '이 기능만 우리 회사 방식대로 고쳐달라'고 조르는 것"입니다. 그건 기성복을 사서 맞춤 정장으로 수선해 달라는 것과 같습니다. SaaS는 '표준화'된 기능을 '저렴하게' 쓰는 것이 핵심 가치임을 잊으시면 안 됩니다!
4. 마무리: 핵심 내용 요약
오늘은 ERP의 종류와 기업 규모별로 다른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결국 '비싼 게 좋은 것'이 아니라, '내 몸(회사 규모와 프로세스)'에 맞는 옷(ERP)을 입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ERP 종류와 기업 규모별 차이 요약
자주 묻는 질문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11.03 - [분류 전체보기] - GOAT 뜻, 무하마드 알리부터 LL Cool J까지, '역대 최고'의 유래
GOAT 뜻, 무하마드 알리부터 LL Cool J까지, '역대 최고'의 유래
GOAT 뜻, 혹시 '염소'? 요즘 SNS와 스포츠계를 휩쓴 신조어 GOAT! '역대 최고'를 뜻하는 이 단어의 정확한 뜻과 흥미로운 유래를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인터넷이나 스포츠 중
benefit.netscapeinfo.com
2025.11.03 - [분류 전체보기] - PPL 뜻, 왜 우리는 '과도한 PPL'에 불편함을 느낄까?
PPL 뜻, 왜 우리는 '과도한 PPL'에 불편함을 느낄까?
PPL 뜻, 도대체 뭐길래? 드라마, 예능을 보다가 뜬금없는 상품 노출에 몰입이 깨진 적 있으신가요? 간접광고 PPL의 정확한 뜻과, 이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 알기 쉽게 짚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어
benefit.netscapeinfo.com
2025.11.12 - [분류 전체보기] - 썸네일(Thumbnail) 뜻: 유튜브 첫인상, 5분 만에 무료로 만들기 (미리캔버스,캔바)
썸네일(Thumbnail) 뜻: 유튜브 첫인상, 5분 만에 무료로 만들기 (미리캔버스,캔바)
썸네일(Thumbnail) 뜻, 클릭을 부르는 비결! (feat. 전문가처럼 무료로 만드는 방법 2가지) 유튜브, 블로그의 첫인상 '썸네일'! 썸네일의 정확한 뜻과 유래, 그리고 포토샵 없이도 전문가처럼 클릭을
benefit.netscapeinfo.com
2025.11.12 - [분류 전체보기] - 트래픽 뜻: '교통 체증'부터 '웹사이트 방문자 수'까지 (완벽 정리)
트래픽 뜻: '교통 체증'부터 '웹사이트 방문자 수'까지 (완벽 정리)
트래픽(Traffic) 뜻, "트래픽 터졌다"는 말, 칭찬일까 경고일까? '트래픽'의 원래 뜻(교통량)부터 IT/웹에서의 긍정적인 의미(방문자), 그리고 '트래픽 초과', 'DDoS 공격' 등 부정적인 단어가 된 이유까
benefit.netscapeinfo.com
2025.11.13 - [분류 전체보기] - 워라밸 뜻: "칼퇴"가 전부가 아닙니다
워라밸 뜻: "칼퇴"가 전부가 아닙니다
워라밸(Work-Life Balance) 뜻, '저녁이 있는 삶' 찾는 5가지 꿀팁! "칼퇴? 유연근무?" 직장 선택의 1순위 '워라밸'! 정확한 뜻과 중요성, 그리고 진짜 워라밸 좋은 회사를 찾는 현실적인 방법 5가지를 완
benefit.netscapeinfo.com